최근 국내에서 엠폭스(MPOX)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지역사회 감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엠폭스의 감염 경로와 국내 확산 현황을 살펴보고, N차감염 예방을 위한 대응 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엠폭스(MPOX)의 다양한 감염 경로
엠폭스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원숭이뿐만 아니라 설치류에서 사람으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자의 비말, 체액, 피부 병변과의 직간접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가 이뤄집니다. 공기 전파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바이러스가 포함된 미세 에어로졸을 통한 감염 사례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성 접촉을 통한 감염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가족이나 동거인 등 밀접 접촉자 사이에서도 전파가 이뤄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과거 메르스나 코로나19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N차감염은 감염병 확산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엠폭스(MPOX) 확진자 현황과 특징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첫 확진자 발생 이후 11일 만에 전국 6개 지역에서 11명의 추가 확진자가 나왔습니다. 특히 13번째 확진자는 12번째 확진자의 밀접접촉자로 확인되어, 지역사회 내 N차감염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감염 양상을 살펴보면, 수도권뿐만 아니라 경상도, 전라도 등 전국 단위로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인구 밀집도가 높은 수도권에서 집중적인 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감염병에 대한 우려와 경기불안정을 극복하기 위해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을 지급하는 법안을 준비중에 있는데요, 아래에 자세한 신청방법을 정리해 두었으니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구분 | 내용 |
---|---|
국내 첫 확진자 발생일 | 2023년 6월 7일 |
누적 확진자 수 (6월 18일 기준) | 13명 |
확진자 발생 지역 | 서울, 경기, 경북, 대구, 경남, 전남 등 6개 지역 |
주요 감염 경로 | 성 접촉, 가족·동거인 등 밀접 접촉 |
N차감염 예방을 위한 대응 방안
엠폭스의 지역사회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N차감염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방역당국은 확진자의 동선과 접촉자 정보를 신속히 파악하고, 의심 증상자에 대한 즉각적인 검사와 격리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아울러 감염 취약 집단에 대한 선제적 검사와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일반 국민들에게는 개인 위생 수칙 준수와 불필요한 밀접 접촉 자제를 당부해야 할 것입니다. 의료기관에는 의심 환자 발견 시 신속한 신고와 적절한 진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 제공이 필요합니다.
엠폭스(MPOX) 예방 수칙
- 깨끗한 개인위생 유지 (손 씻기, 기침 에티켓 등)
- 동물과의 접촉 시 주의 (야생동물, 설치류 등)
- 성 접촉 시 콘돔 사용 등 안전한 방법 실천
- 발열, 피부 병변 등 의심 증상 발현 시 신속한 의료기관 방문
마치며
엠폭스는 아직 국내에서 크게 유행하고 있지는 않지만, 지역사회 감염 사례 증가와 전국적인 확산 양상을 보이고 있어 경각심을 갖고 대응해야 합니다. 개인의 예방 수칙 준수와 함께, 방역당국과 의료계의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