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정기검사와 종합검사에 대해 들어보셨을 텐데요. 두 검사 모두 차량의 안전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이지만, 그 목적과 점검 범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정기검사와 종합검사의 기본 개념
먼저 정기검사는 법적으로 정해진 기간에 따라 모든 차량에 대해 실시됩니다. 기본적인 안전 점검과 배출가스 검사가 포함되죠.
종합검사는 정기검사 항목에 배출가스 정밀 검사가 추가된 검사로, 특정 지역에서 운행하는 차량에게 주로 요구됩니다.
검사 주기와 대상
정기검사는 대부분의 비사업용 승용차가 첫 검사 후 4년, 그 이후로는 2년마다 받아야 합니다.
반면, 종합검사는 주로 대기질 관리가 필요한 지역의 차량이 대상이며, 차령 4년이 지난 후부터 2년마다 받게 됩니다. 사업용 차량의 경우, 검사 주기가 더 짧아 매년 또는 6개월마다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비용 비교
차종 | 정기검사 비용 | 종합검사 비용 |
---|---|---|
경형차 | 17,000원 | 48,000원 |
소형차 | 23,000원 | 54,000원 |
중형차 | 26,500원 | 56,000원 |
대형차 | 29,000원 | 65,000원 |
검사 미실시 시 과태료
검사를 기간 내에 받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정기검사와 종합검사 모두 30일 이내 미실시 시 2만원, 이후 3일 초과 시마다 1만원이 추가되어 최대 30만원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검사 명령을 무시한 경우, 차량 번호판 영치 및 최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검사 예약 방법
자동차 검사는 교통안전공단 검사소에서 예약 후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 사이트에서 차량 등록번호와 소유주 정보만으로도 예약이 가능하며, 유선 예약도 가능합니다.
자동차 정기검사와 종합검사의 차이를 이해하면 보다 안전하게 차량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시기에 맞춰 검사를 받고, 관련 비용과 과태료에 대해 미리 알아두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