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투표, 준비물과 타 지역 투표 방법 총정리

2024년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개인적인 사정이나 바쁜 일정 때문에 본 투표일에 투표하기 어려운 분들이 늘어나면서, 사전투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사전투표 일정과 장소, 준비물 등을 자세히 알아보고, 타 지역에서도 투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개요

먼저, 이번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해 간략히 알아볼까요? 이번 선거에서는 지역구 국회의원 254명과 비례대표 국회의원 46명을 합쳐 총 300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게 됩니다. 투표는 4월 10일 수요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지정된 투표소에서 진행되며, 선거권은 2006년 4월 11일 이전 출생자로 만 18세 이상의 모든 국민에게 주어집니다.

사전투표, 이렇게 준비하세요!

본 투표일에 투표가 어려운 분들을 위해 마련된 사전투표,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사전투표 일정 확인하기

사전투표는 본 투표일 이전인 4월 5일 금요일과 6일 토요일, 이틀간 진행됩니다. 투표 시간은 본 투표일과 동일하게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별도의 신고 없이 지정된 사전투표소에 방문하여 투표하시면 됩니다.




사전투표 자세히 보러가기

꼭 챙겨야 할 사전투표 준비물

사전투표를 위해서는 반드시 본인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공무원증, 전자증명서 등 관공서 또는 공공기관에서 발행한 증명서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죠. 학생이라면 학생증도 인정됩니다. 모바일 신분증도 사용할 수 있지만, 화면 캡처 이미지는 인정되지 않으니 주의하세요. 사전투표 안내문에 기재된 등재번호를 알고 계시면 투표가 보다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소 찾아가기

자신이 투표해야 할 사전투표소가 어디인지 모르시겠다고요? 걱정 마세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바로가기

홈페이지 우측 메뉴에서 ‘사전투표소 검색’을 클릭한 후, 주소지의 읍면동을 입력하고 검색하면 해당 지역의 사전투표소 목록과 약도가 나타납니다. 시도와 구시군별로 사전투표소 전체 현황을 확인할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타 지역에서도 투표할 수 있어요!

출장이나 여행 등으로 타 지역에 계신 분들도 사전투표로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선거구 밖에서 투표하는 것을 관외투표라고 하는데요. 이 경우 투표용지와 회송용 봉투를 함께 받게 됩니다. 투표용지에 도장을 찍은 후 회송용 봉투에 넣어 투표함에 넣으면 끝! 어렵지 않죠?

마치며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뽑은 대표자가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바쁘다는 이유로, 귀찮다는 이유로 투표를 포기하기보다는 사전투표 제도를 적극 활용하시는 건 어떨까요? 여러분 한 분 한 분의 소중한 한 표가 모여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 수 있습니다. 2024년 4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하셔서 꼭 주권을 행사하시길 바랍니다!